기사 (1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 모바일 주민등록증 사용 가능 법적 근거 마련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 모바일 주민등록증 사용 가능 법적 근거 마련 현재 일반 국민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플라스틱 주민등록증 활용도가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이에 양정숙 무소속 의원이 디지털 시대에 맞는 모바일 주민등록증 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주민등록법 일부개정안」을 26일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양정숙 의원실에 따르면, 현재 기존의 플라스틱 형태의 주민등록증 표시 방법이 가시적이고, 개인정보가 쉽게 유출될 우려가 있었던 것만큼, 스마트폰 보급이 활성화됨에 따라 4차 산업혁명시대의 블록체인 보안기술을 겸비한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이 공식화되면 국민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NEWS& | 박은혜 기자 | 2021-02-26 23:33 정부, 디지털 뉴딜 가속화 주요 정책 발표… 제12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 개최 정부, 디지털 뉴딜 가속화 주요 정책 발표… 제12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 개최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이 주재하는 제13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가 18일 영상회의로 개최됐다. 이번 전략위에서는 ‘K-사이버방역 추진 전략’을 심의안건으로 의결하고, ‘디지털 뉴딜 대표사업 성과 로드맵’, ‘2021 전파진흥시행계획’을 보고안건으로 접수, 2021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실행계획’과 ‘2020 국가정보화 추진실적 점검’ 안건은 서면으로 갈음됐다회의를 주재한 최기영 장관은 모두발언을 통해 “이번 전략위에는 비대면 서비스 확산으로 중요성이 높아지는 사이버 보안 전략과 함께, 디지털 뉴딜 과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국 정책& | 이민호 기자 | 2021-02-18 16:52 '디지털 뉴딜 사업'이 한번에… 정부, 관계부처 합동 사업설명회 최초 개최 '디지털 뉴딜 사업'이 한번에… 정부, 관계부처 합동 사업설명회 최초 개최 정부가 16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2021년도 디지털 뉴딜 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디지털 뉴딜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경제‧사회 전반의 디지털 大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국가 혁신프로젝트로서, 정부가 지난 1월 발표한 ‘2021년 디지털뉴딜 실행계획’에 따르면, 2021년 가시적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D.N.A. 생태계 강화 (5.2조원) ▲교육 인프라 디지털 전환(0.1조원) ▲비대면 산업육성(0.5조원) ▲SOC 디지털화(1.8조원) 등에 총 7.6조원의 예산을 투자할 계획이다.설명회에서는 그간 정책& | 이민호 기자 | 2021-02-15 23:44 과기정통부, ICT 창업·벤처 지원사업 ‘K-Global 프로젝트’… 30개 사업 1563억원 지원 과기정통부, ICT 창업·벤처 지원사업 ‘K-Global 프로젝트’… 30개 사업 1563억원 지원 과기정통부는 2일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창업·벤처 지원사업인 ’K-Global 프로젝트‘의 2021년 사업을 통합 안내하고, 2월 중에 민·관 통합설명회를 온라인으로 진행한다고 밝혔다.K-Global 프로젝트는 과기정통부가 ICT 분야 창업·벤처 지원사업들을 단일 브랜드로 통합한 것으로, 사업 분야별 일괄 안내 및 성과 관리 실시하고 있다.2021년도 ’K-Global 프로젝트‘는 총 30개 사업 1563억원 규모로 구성됐다.이번 발표되는 ‘2021년도 K-Global 프로젝트 통합 안내문’에는 과기정통부가 디지털뉴딜 활성화를 산업& | 이민호 기자 | 2021-02-01 17:07 정부, 2021년 나노·소재분야 원천R&D에 2879억원 투자… 소부장 예산 중 70% 해당 정부, 2021년 나노·소재분야 원천R&D에 2879억원 투자… 소부장 예산 중 70% 해당 과기정통부는 2879억원 규모의 ‘2021년도 과기정통부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을 15일 확정했다.이번 확정계획은 과기정통부의 소재·부품·장비 지원예산 4173억원 중 약 70%에 해당하며, 전년 대비 약 25%가 증가한 규모이다.2021년부터는 보다 체계적인 사업 관리와 연구현장의 편의성과 예측가능성 제고를 위해 유사한 성격을 가진 과제들을 묶어 ▲미래기술 ▲핵심기술 ▲사업화 ▲팹 고도화 ▲연구혁신으로 유형화하고, 유형별 맞춤형 지원전략이 추진된다. 미래기술에는 미래 기술수요에 대응하고 신시장·신산업 창출을 선도할 정책& | 이민호 기자 | 2020-12-15 16:55 처음처음1끝끝